어린이를 위해 쉽게 풀어 쓴 훈민정음 해례본
관리자 | 조회 231
시작하는 말
세종대왕이 조선의 네 번째 왕으로 등극하시던 시기는 조선에서는 명나라인 중국의 문자인 한자를 썼어요. 그래서 말과 글자가 서로 다르니 백성은 자기의 생각을 표현하고 싶어도 쉽게 전하지 못한 것을 가엽게 여긴 세종대왕은 1443년, 새로운 글자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의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만들었어요.
훈민정음을 만들어 모두가 함께 사용하기를 바랐던 세종대왕의 뜻과 달리 최만리를 비롯한 많은 신하는 명나라를 섬기는 조선에서 새로운 글자를 만드는 것은 오랑캐나 하는 것이라면서 강력하게 반대했어요. 또한, 양반 사대부도 한자 사용에 익숙했었기 때문에 새로운 글자를 만들 필요 없다고 주장하면서 새로운 글자를 ‘암글’ 또는 ‘아햇글’이라면서 비하했어요.
그렇지만, 세종대왕은 이를 지혜롭게 물리치시고 자음 17자와 모음 11자 모두 스물여덟 자인 훈민정음으로 『용비어천가』를 정인지와 권제, 안지 등에 편찬하게 한 뒤 1446년 9월에 새롭게 만든 글자의 창제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전체 33장으로 된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정식으로 반포했어요. 이 중 26장이 훈민정음에 대한 풀이[해]와 예시[례]를 담고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훈민정음 해례본’이라고 해요.
《훈민정음 해례본》은 1940년에 이르러 발견되고서야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바르게 알 수 있었고, 한글에 대한 많은 궁금증도 풀 수 있었어요.
그러나 《훈민정음 해례본》은 훈민정음이 어떤 원리를 바탕으로 해서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는가에 대한 설명이 한문으로 쓰여있는 책이기 때문에 전문가들이나 읽을 수 있는 굉장히 어려운 책으로 이해하고 있었어요.
더욱이 《훈민정음 해례본》을 한글로 풀이해 놓았다는 책들도 최소한 고등학교 학생들 이상에서 배우는 책으로 알고 있었어요.
그렇지만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린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풀이한 책이 없었기 때문에 어렵다고 느꼈을 뿐이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앞으로 대한민국을 이끌어갈 우리 어린이들이 귀중한 훈민정음에 대해서 정확히 알고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훈민정음 해례본》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춰서 쉽게 풀어 쓰려고 노력했어요.
그리고 실제 국보 《훈민정음 해례본》을 재현한 박영덕 각자 명장 선생님이 원본과 똑같이 목판본으로 새겨서 펴낸 아주 귀한 자료를 사단법인 훈민정음기념사업회에서 받아서 특별부록으로 실었어요. 이 책을 통해 우리의 글자 한글을 낳게 한 훈민정음이 왜 세계적인 문자인지 이유를 알 수 있게 되길 바라요.
훈민정음 창제 580돌 세종대왕 탄신일을 기다리며
엮은이 문선영 적음
차 례
■ 시작하는 말 3
■ 칭찬하는 글 3
■ 차례 5
첫 번째. 훈민정음에 대해서 먼저 알아볼까요?
하나. 세종대왕은 어떤 왕일까요? 7
둘. 훈민정음 해례본은 무슨 책인가요? 7
셋.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떻게 발견되었나요? 7
넷. 훈민정음 창제 때 세종 대왕을 도와준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7
다섯.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한 사람들은 누구인가요? 15
여섯. 훈민정음을 다르게 부른 이름은 어떤 것이 있나요? 17
일곱. 훈민정음의 자모음 이름은 누가 지었나요? 17
두 번째. 훈민정음 해례본을 쉽게 풀이해 볼까요?
하나. 훈민정음 창제이유와 목적[세종 어제 서문] 25
둘. 새로운 글자 보기와 뜻 간단 소개[예의] 25
셋. 글자를 만든 풀이[제자해] 29
넷. 첫소리 풀이[초성해] 43
다섯. 가운뎃소리 풀이[중성해] 45
여섯. 끝소리 풀이[종성해] 47
일곱. 낱자 맞춤 풀이[합자해] 50
여덟. 실제 사용하는 보기[용자례] 54
아홉. 훈민정음의 우수성과 편찬자 등[정인지 서문] 57
세 번째. 훈민정음 해례본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부록. 국보와 똑같이 새긴 《훈민정음 해례본》 25
이 책의 특징과 미리 알아두면 좋을 내용 정리
1. 제목 아래에 ☞ 표시는 이 책을 읽는 어린이를 위해 덧붙여서 설명해 주는 글이에요.
2. ‘~ 라고 설명하고 있어요.’라는 표현은 《해례본》에는 없는 부분인데, 이 책을 읽는 어린이가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도록 책을 쓴 선생이 붙여 놓은 말이에요.
3. ‘첫소리’, ‘가운뎃소리’, ‘끝소리’라는 낱말은 《해례본》의 표현을 실감 나게 전달하기 위해서 ‘첫소리 즉 초성[初聲]’, 가운뎃소리 즉 중성[中聲]’, 끝소리 즉 종성[終聲]’으로 표현했어요. 그리고 계속 반복해서 표현함으로써 이 책을 읽은 어린이가 저절로 이해하고 암기할 수 있도록 했어요.
4. 내용 중 낱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한자 병기가 필요할 경우, ‘나무[木목]’와 같이 낱말 옆의 꺾기 괄호 안에 한자와 한자의 음을 표기해서 이해하기 쉽게 했어요.
5. 특별부록의 《해례본》 목판본은 국보 70호와 똑같이 박영덕 각자장이 재현한 자료에요. 이 책의 본문과 연결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해례본》의 면마다 아래에 본문의 페이지를 표시했어요.
6. 이 책은 어렵게만 느껴졌던 《해례본》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게 우리말로 쉽게 풀이하려고 노력한 책이에요. 이 책으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글자라고 인정받는 『훈민정음』에 대해서 바르게 알고 더욱더 우리 글자에 대한 자긍심을 갖게 되길 바래요.